미술치료 2 - 재료와 진단적 기법
미술치료 매체 모든 재료가 미술치료의 재료가 될 수 있다. 드로잉 재료, 페인팅 재료 (예시) 연필, 샤프, 2B연필, 4B 연필, HB 연필 등 볼펜, 사인펜 (수성, 유성), 매직 (수성, 유성), 마커펜 콘테, 목탄, 분필, 색연필, 크레파스, 크레용, 파스텔, 유성 파스텔 수성 물감 - 수채화 물감, 아크릴 물감, 포스터 물감, 수성 페인트, 수성 잉크, 동양화 물감 유성 물감 - 유화 물감, 유성 페인트, 마블링 물감, 유성 잉크 먹물 점토 류 자연 점토 - 청자토, 옹기토, 백자토 대응 점토 - 지점토, 밀가루 반죽, 쌀을 빻은 가루, 전분 반죽, 톱밥 반죽, 종이 반죽, 유성 점토 석고 스티로폼, 우드락 OH 필름, 아세테이트지, 투명 시트지 미술치료의 진단적 기법 인물화 검사 DAP Dra..
2023. 1. 12.
미술 치료 1 - 미술치료란, 미술치료 모형, 미술치료 장점
미술치료 미술이란 시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건축, 회화, 조각 등을 포함하는 예술을 미술이라 한다. 형태, 면, 선, 색, 기호 등의 여러가지 요소들을 통합하고 작가의 마음과 감정을 전달하고 미적인 쾌감을 준다. 미술의 역사는 선사시대에 인류가 동굴에서 살던 시절부터 시작이 되었다. 벽화에는 그 시대의 사람들의 생활하는 모습이 그려져있다. 그림에는 사냥한 동물, 사람의 모습, 무기, 불, 물, 돌 등을 표현하였다. 문명이 발생하면서 각 고유의 문화의 특성을 담은 미술이 발전해왔다. 서양 미술에서는 시대별 특징이 나타나는 미술의 파 또는 미술 운동이 등장했다. 신고전주의, 인상주의, 극사실주의, 모더니즘, 근대미술, 현대미술, 포스트모더니즘 등 미술의 파와 미술 운동은 지속되고 있다. 기술의 발전은 미술에..
2023. 1. 12.